
| 고등학교 동아리이자 스타트업 베가스페이스
| "신속 재발사 가능한 모듈형 발사체 개발해 우주 운송사업 선도"
(제주=연합뉴스) 백나용 기자 = "탄광은 아버지 삶이지 제 삶이 아니에요. 다시는 안 내려갈 거예요. 저는 우주로 가고 싶어요."
1999년 개봉한 영화 '옥토버 스카이(October Sky)'의 주인공 호머 히컴의 대사다.
미국 탄광 마을에 사는 호머는 소련이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했다는 뉴스를 보고 로켓을 만들겠다는 꿈을 품는다. 하지만 탄광에서 평생을 보낸 아버지는 아들이 자신의 뒤를 잇길 바랐다.
아버지 몰래 로켓을 만들며 갖은 고난이 이어졌지만, 그는 결코 꿈을 포기하지 않았고 결국 친구들과 함께 개발한 로켓으로 전미 과학경진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연구원을 지낸 호머 히컴의 실제 이야기다.
제주에서도 '옥토버 스카이'를 꿈꾸며 로켓을 쏘아 올리는 소년들이 있다.
제주영어교육도시 내 세인트존스 베리 아카데미 제주에 재학 중인 허성현(17)·양준우(〃)·최현우(18)·한승준(〃) 군과 한국국제학교 제주 캠퍼스에 다니는 황준서(17)·박성재(〃) 군이 모인 베가스페이스(Vega Space) 다.
베가스페이스는 고등학교 동아리 겸 초소규모 항공우주 스타트업이다.
2018년 시작해 2020년 11월에는 사업자등록까지 받아 로켓을 개발하고 있다.
사실 베가스페이스의 첫 시작은 '맨땅에 헤딩'이나 다름없었다.
설계 기술도 돈도 없었기 때문이다.
미국 앨라배마주에 있는 우주·로켓센터에서 진행된 스페이스(SPACE) 캠프에 참가하고, 하늘에 별을 보면서 우주를 꿈꿨지만, 실전은 달랐다.
결국 개발 업무를 맡은 구성원들은 일단 닥치는 대로 로켓 관련 미국 원서와 논문을 읽으면서 설계 기술을 익혔다.
초기 개발비는 허성현 군이 채팅 애플리케이션 디스코드(Discord)에 관리나 오락·편의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봇'을 만들어 판매한 수익으로 마련했다.
"발사만 하는 것이 아닌 착륙까지 시도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허성현 군은 "미리내는 자동화된 착륙 다리와 낙하산 배출 기능이 장착돼 있으며, 현재 이를 이용한 착륙 실험을 두 차례 진행해 두 번 모두 성공적으로 마친 상태"라고 답했다.
베가스페이스는 2023년까지 미리내 발사와 착륙 성공률을 9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을 단기 목표로 한다.
허성현 군은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 탐사기업 스페이스X처럼 발사뿐 아니라 착륙까지 도전해 엔진만 갈아 끼우는 방식으로 로켓을 재활용하고자 한다"며 "다만 기존 거대한 발사체 위주에 시장과 달리 신속한 재발사가 가능한 저비용, 모듈형 발사체를 중점적으로 개발해 민간 우주 운송사업을 선도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사실 학생 신분으로 학업과 병행하기 어려운 점도 있고, 로켓 개발비가 비싸 앞으로 자금을 조달한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다"며 "하지만 우리 세대는 우주로 나아갈 것이라는 믿음 하나로 친구들과 함께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기사 출처 및 전문] 연합뉴스 ‘'옥토버 스카이'를 꿈꾸며…제주서 로켓 쏘는 소년들’